Linux 검색 결과

55개 발견
  1. 미리보기
    2015.05.03 - mr.november11

    [rhel]linux 리눅스에서 vsftp ftp 계정별 접속 시 home directory 위치 설정

  2. 미리보기
    2015.05.03 - mr.november11

    [rhel]linux 리눅스 vsftpd ftp 설정에서 유저가 home directory 밖의 영역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제한 방법

  3. 미리보기
    2015.05.03 - mr.november11

    network 설정 NetworkManager

  4. 미리보기
    2015.05.03 - mr.november11

    [rhel 7]rhel 7.0 레드햇 리눅스 Linux 7 network static IP 설정하기

  5. 미리보기
    2015.05.03 - mr.november11

    [rhel 7] rhel 7.0 래드햇 리눅스 7 Linux 7 static routing 설정 ip route

  6. 미리보기
    2015.05.03 - mr.november11

    [rhel] NTP 설정 및 NTP 상태 확인

  7. 미리보기
    2015.04.20 - mr.november11

    VirtualBox에 CentOS6.6 설치 방법

vsftp 를 사용하여 Linux에 FTP서버를 구축한 후 계정별 접속 홈 디렉토리 설정을 하기 위해
별도로 vsftp단에서 해줘야 하는 설정은 없다.

linux 계정 자체의 HOME directory를 원하는 경로로 설정해주면 된다.

웹 호스팅 시 일반적으로 telnet 접속등을 통한 서버 관리는 유저단에서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원하는 home 경로는 일반적으로 웹 서버 주소인 /var/www/html 내의 directory를 설정하면 된다.

홈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방법은 2가지 방법이 있다.

1. /etc/passwd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 방법
2. usermod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

1. /etc/passwd 파일 수정 
    hyun:x:501:501::/var/www/html/hyun:/bin/bash
    위 계정 설정 값에서 </var/www/html/hyun> 부분은 기존에 /home/hyun이 있던 부분이었다.
    해당 위치의 경로를 설정하면 된다.

2. usermod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
    usermod -d <변경할 home 경로> <변경할 계정 이름>
    ex) usermod -d /var/www/html/hyun hyun
    으로 설정하면 된다.  

다른 카테고리의 글 목록

Linux 카테고리의 포스트를 톺아봅니다

linux 리눅스 vsftpd ftp 설정에서 유저가 home directory 밖의 영역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제한 방법

해당 부분은 chmod를 사용하여 linux 계정의 유저 권한 부분을 조정하여 제한하려 했지만 잘 되지 않았다.

home directory 밖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etc/vsftpd/vsftpd.conf 파일을 직접 수정해야 한다.

----------------------------------------------------------------------------------
# You may specify an explicit list of local users to chroot() to their home
# directory. If chroot_local_user is YES, then this list becomes a list of
# users to NOT chroot().
chroot_local_user=YES
chroot_list_enable=YES
# (default follows)
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
vsftpd.conf 파일 내 chroot 부분을 수정한다.
chroot_local_user=YES
chroot_list_enable=YES
위의 설정값이 초기에는 # 주석처리 되어있다. chroot 관련 부분을 주석을 모두 해제한다.

chroot_list_file 은 home이외의 영역 조회가 가능한 계정 리스트에 관한 파일이다.

설정 완료 후 /etc/vsftpd/chroot_list 파일을 생성한다. ( home 영역을 벗어날 계정이 없더라도.. )

설정 완료 후 에는 service vsftpd restart로 FTP를 재시작한다. 

다른 카테고리의 글 목록

Linux 카테고리의 포스트를 톺아봅니다

network 설정 NetworkManager

2015. 5. 3. 00:17 - mr.november11

[[rhel 7]rhel 7.0 Linux 7.0 리눅스 network 설정 NetworkManager]


레드햇 리눅스 7버전에서, 기본 네트워크 서비스는 NetworkManager에 의해 제공된다. NetworkManager은 동적 네트워크 설정과 제어 데몬이다. 전통적인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ifcfg는 그대로 제공된다. 

NetworkManager에서 네트워크 영역,  IP 주소, 정적 라우팅, DNS설정, VPN연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접속 파라미터를 설정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기존에 ifcfg에서 해왔던 동작들이 NetworkManager를 통해 이루어 진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rhel 7 버전에서는 NetworkManager의 숙지가 중요하다. 

1. NetworkManager 데몬 설치
    #yum install NetworkManager

2. NetworkManager 데몬 
    NetworkManager는 root권한에서 실행된다.  systemctl status로 상태를 확인한다. 
    ~]$ systemctl status NetworkManager
    NetworkManager.service - Network Manager
        Loaded: loaded (/lib/systemd/system/NetworkManager.service; enabled)
        Active: active (running) since Fri, 08 Mar 2013 12:50:04 +0100; 3 days ago

  NetworkManager의 Active 상태가 deactive(dead) 상태일 경우 start명령어를 실행
    ~]# systemctl start NetworkManager

   enable 실행 시 부팅 시마다 해당 데몬이 실행되도록 한다. ( 기존 rhel 6 버전에서의 chkconfig와 같은 역할)
    ~]# systemctl enable NetworkManager


다른 카테고리의 글 목록

Linux 카테고리의 포스트를 톺아봅니다

rhel 버전에서는 NetworkManager의 interactive tool을 추가로 설치하여 IP를 세팅할 수 있다.


하지만, 역시 기존의 script file 수정 방법이 있기에, 이를 따르는게 편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세팅은 ifcfg-<name> 파일에 설정이 저장된다. ex) ifcfg-eth1, ifcfg-bond1

eth0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세팅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 
DEVICE=eth0
BOOTPROTO=none
ONBOOT=yes
NETMASK=255.255.255.0
IPADDR=10.0.1.27
onboot 세팅을 yes로 해줘야 정상 동작한다. 
bootproto는 static, dhcp IP 설정을 담당한다. 

dhcp로 dynamic 한 주소를 갖는경우 아래와 같이 세팅된다.
DEVICE=eth0
BOOTPROTO=dhcp
ONBOOT=yes


다른 카테고리의 글 목록

Linux 카테고리의 포스트를 톺아봅니다
static route 스택틱 라우팅은 default gateway로 가면 안 되는 트래픽을 정의할 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routing은 서버나 클라이언트 단에서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장비 상의 router에서 결정된다. static routing은 특정 트래픽을 의도적으로 특정 위치로 보내야 할때나 VPN tunnel등에서만 사용한다.
default gateway는 목적지 트래픽이 local network 안에 없을 경우 또는 routing table에 preferred 된 트래픽이 없을 경우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default gateway는 장비에 물린 네트워크 라우터의 주소이다. 

ip packet이 전송 될 시 1차적으로는 routing table로 static routing이 설정 되어있는지 검사,
2차적으로 설정된 ip address 상의 local network 안 주소인지 검사, 최종적으로 모두 해당하지 않는 패킷의 경우 default gateway로 넘겨버린다.

routing table은 아래 명령어로 확인 가능 하다.

ip route [ add | del | change | append | replace ] destination-address

~]$ ip route
default via 192.168.122.1 dev ens9  proto static  metric 1024
192.168.122.0/24 dev ens9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122.107
192.168.122.0/24 dev eth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122.126

ip route add 192.0.2.1 via 10.0.0.1 [dev ifname]
192.0.2.1 이라는 ip 의 host(single IP)에 대한 routing table을 추가하는 커맨드이다.
192.0.2.1 이 목적이 주소로 들어올 경유 ifname이라는 interface 의 10.0.0.1을  next-hop로 보내면 된다. ( 목적지 mac-address를 10.0.0.1로 바꿔서 전송한다. 이때 목적지 IP는 변하지 않는다. )

 ip route add 192.0.2.0/24 via 10.0.0.1 [dev ifname]
위와 비슷하게 192.0.2.0/24 network 대역에 대한 static routing을 추가할 시 위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

이외에도 비슷한 형식으로 del, change, append, replace 명령어를 사용하여 routing table을 편집할 수 있다.

각 interface별 static routing table 정보는 /etc/sysconfig/network-scripts/route-interface 파일 안에 저장된다.


다른 카테고리의 글 목록

Linux 카테고리의 포스트를 톺아봅니다

[rhel] NTP 설정 및 NTP 상태 확인

2015. 5. 3. 00:12 - mr.november11
NTP 상태 확인 설명
ROOT# ntpq -p 133.100.9.2
     remote           refid      st t when poll reach   delay   offset    disp
==============================================================================
*GPS_NMEA(1)     .GPS.            0 l  184   16  377     0.00    0.002    0.03
+clock.tl.fukuok .GPS.            1 u  218   64  376     3.11   -0.070    0.53
+helio.tl.fukuok .GPS.            1 u  229   64  377     3.60    0.068    0.08
 geo.gen.u-ryuky clock.nc.fukuok  2 u  736 1024  376    52.40    7.090   19.15
-ns.hiroshima-u. .GPS.            1 u  213   64  376    17.23   -0.724    2.14
-onikobe.gw.toho .GPS.            1 u  199  512  377    57.82   -1.658    5.16
-izumi.gw.tohoku .GPS.            1 u  359  128  264    60.33   -2.292    3.01
 LOCAL(0)        LOCAL(0)         3 l  196   64  377     0.00    0.000   10.01
xtime.nist.gov   .ACTS.           1 u  336  256  377   189.33   -9.976    2.76

[첫번째 column]
 ' '(reject)     거리가 멀어서 사용되지 않는 서버
 'x'(falsetick) falseticker 검사결과 사용되지 않는 서버
 '.'(excess)     참조서버가 많아서 사용되지 않는 서버
 '-'(outlyer)    clustering 검사결과 사용되지 않는 서버
 '+'(candidat)   접속 테스트를 합격하여 언제든지 참조가 가능한 서버
 '#'(selected)   동기 거리가 멀지만 참조가 가능한 서버
 '*'(sys.peer)   동기중인 서버
 'o'(pps.peer)   동기중인 서버(동기는 PPS 신호로 부터 간접적으로 행해짐

[두번째 column 이후 라벨의 의미]
 remote          Remote Server 의 Host명
 refid           참조ID(명확하지 않을 때는 0.0.0.0 으로 표시됨)
 st              stratum 번호,서버가 어떤 Layer 인지를 표시함.
 t               단층(Layer)의 타입 (l:local,u:unicast,m:multicast,b:broadcast)
 when            마지막으로 Packet 을 수신한 이후 경과한 시간 (단위:초)
 poll            Polling 간격 (단위:초)
 reach           도달가능한 register 를 8 진수로 표현한 값
 delay           Polling insterval 지연예상시간 (단위:밀리초)
 offset          단층(Layer)의 offset (단위:밀리초)
 disp            단층(Layer)의 분산 (단위:밀리초)
추가 NTP에서의 Stratum Layer는 reference colock으로부터의 거리를 말한다. 
stratum-0는 GPS 이고 stratum-1은 GPS와 연결된 서버(직결링크) stratum-2는 stratum-1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이다. stratum layer가 작을수록 reference clock과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더 정확한 clock을 가진다.


다른 카테고리의 글 목록

Linux 카테고리의 포스트를 톺아봅니다

VirtualBox에 CentOS6.6 설치 방법

2015. 4. 20. 22:47 - mr.november11

1. VirtualBox 다운로드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Virtual Box 공식 홈페이지에서 각 OS에 맞춰 다운로드 한다. 

2. CentOS 6.6 Image 다운로드
http://wiki.centos.org/Download
현재 공식 사이트 Download 버튼에서는 CentOS 7.0버전만 다운로드 가능하다.
'More download choices' 로 들어가 6.6 버전을 선택하여 다운받는다.

3. VirtuaBox 설치 후 VM만들기
특별히 신경쓸 내용 없이 Next Step을 진행하면 된다. 


* OS 초기 설치 부팅 시 아래 메시지가 나타나는 경우

This kernel requires an x86-64 CPU, but only detected an i686 CPU.
Unable to boot - please use a krenel appropirate for your CPU.

설치 당시의 데스크탑 OS 환경이 윈도우7 64bit였는데 위와 같은 메시지가 나타났다.
VirtualBox는 데스크탑의 32, 64bit 환경을 맞춰줘야 하는건가? ..
일단 큰 고민 없이 ..그냥 초기 VM이미지 생성을 그냥 64bit로 해주니 잘 진행된다.

64bit로 생성한 이미지가 32비트 환경의 데스크탑에서 잘 실행될지는 미지수다.. 
아마 안 될 것 같다.









다른 카테고리의 글 목록

Linux 카테고리의 포스트를 톺아봅니다